클라우드 관련주 대장주 총정리 TOP10
클라우드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관련된 키워드로는 삼성에스디에스 다우데이타 다우기술 NHN NAVER SK텔레콤 더존비즈온 등이 있습니다.
아래에서 클라우드 관련주의 종목별 차트와 실적 분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삼성에스디에스(01826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IT 서비스와 물류BPO 사업부문을 영위 중, 삼성관계사 MES와 ERP 등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등 IT 서비스 최적화를 지속 지원하고 있음.
- 세계 최고 수준의 삼성관계사 정보보안체계를 구축 운영, 솔루션 고도화 추진과 함께 그룹IT 경쟁력 지속 강화 및 해외IT 서비스 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음.
- 자체개발한 물류 실행 솔루션과 SCM 컨설팅 역량을 기반으로 물류 BPO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, 관계사 확산 및 글로벌 고객 확대를 추진 중임.
실적 및 분석
- IT서비스 부문의 부진에도 관계사의 물동량 증가와 함께 항공 매출 확대 등 물류BPO의 성장에 힘입어 매출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.
- 고마진 IT서비스 부문의 비중 축소 등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하락하였으며, 삼성네트웍스 합병 관련 법인세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도 하락.
- 글로벌 경기 개선에 따른 대내외 IT 투자 확대와 물류부문의 하이테크, 자동차 부품, 이커머스 산업 중심의 사업 강화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.
다우데이타(03219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판매, 임대 및 서비스업 등을 주 목적으로 1992년 설립,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됨.
- VAN사업과 PG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, Autodesk, VMware 등의 솔루션과 클라우드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.
- 다우기술을 비롯한 키다리스튜디오, 사람인에이치알, 키움증권, 키움저축은행, 키다리이엔티 등 다수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.
실적 및 분석
- COVID-19 여파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 구축 수주 증가와 함께 개인투자자 증가에 따른 종속기업 키움증권의 고성장에 힘입어 전년대비 매출 크게 신장.
- 원가율 상승에도 큰 폭의 매출 신장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상승,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 상승.
- 엔터 및 인력공급 부문의 성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, 재택근무 관련 솔루션 수요 증가, 키움증권의 양호한 성장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.
다우기술(02359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동사는 IT서비스 전문기업으로 IBM, Vmware, Citrix, RedHat 등과의 총판계약을 통해 해외 유명 솔루션을 국내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였음.
- 2008년 유니텔네트웍스와 테라스테크놀로지를 합병하여 인터넷 서비스사업과 메일 솔루션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음.
- 그 외에 보안사업과 PG사업, 전자복권사업 및 SaaS형 스마트 프로세스사업, 공공SI 및 IDC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.
실적 및 분석
- 시스템구축 수주가 증가한 가운데 개인투자자 증가에 따른 종속기업 키움증권의 홀세일 부문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매출 크게 신장.
- 큰 폭의 매출 신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상승,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 상승.
- 자체사업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개인투자자 유입 증가세 지속 및 자산관리 서비스 부문 강화에 따른 키움증권의 양호한 성장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.
NHN(06025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1994년 12월 설립되어 2006년 1월 한국사이버페이먼트를 흡수합병하였으며, 동년 7월 POS사업 부문을 물적분할 하였음.
- 주요 사업으로 온라인 전자결제대행(PG)사업과 온/오프라인 부가통신망(VAN)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, 소셜커머스 등 대형 가맹점을 적극 유치하고 있음.
- 전자결제대행 부문은 동사와 KG이니시스 등 상위 사업자가 상당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, 동사는 신용카드 거래액 기준 업계 1위를 점유하고 있음.
실적 및 분석
- COVID-19 여파에 따른 외부활동 자제로 오프라인VAN 부문의 거래액이 감소하였으나 PG 및 온라인VAN 거래액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매출 신장.
- 매출 신장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에도 원가율 상승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하락, 외화 관련 금융수지 저하로 법인세비용 감소에도 순이익률 하락.
- 오프라인VAN 부문의 거래액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에 따른 온라인 결제 부문의 양호한 성장세 지속으로 매출 성장 전망.
NAVER(03542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와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인 라인, 지인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밴드 등을 서비스하고 있음.
-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 포털 1위를 지속하고 있으며, 라인은 일본, 대만 등 주요 지역에서 게임, 스티커 판매, 광고 등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음.
- 2019년 11월 자회사 라인과 Z홀딩스의 경영통합을 결정, 아시아 최대 인터넷 플랫폼으로의 시장 지위 확보, 이를 통한 시너지 창출이 기대됨.
실적 및 분석
- 네이버쇼핑 성장과 함께 네이버페이 거래액이 증가한 가운데 성과형 광고 확대 적용, 웹툰 등의 콘텐츠 이용자 증가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대비 매출 신장.
- 지급수수료, 광고선전비 증가 등에 따른 영업비용 부담 확대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하락, 지분법이익 증가, 중단영업손실 감소 등으로 순이익률은 상승.
- 스마트스토어와 브랜드스토어의 거래액 확대,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, 클라우드 사업 부문의 수주 본격화 등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.
KT(03020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유선전화와 무선전화 및 초고속인터넷 등 통신 서비스를 제공, 탈통신과 통신방송융합 및 유무선 컨버전스 등 산업트렌드에 맞춘 혁신적인 서비스 출시.
- 신용카드업을 영위하는 (주)비씨카드와 온라인 콘텐츠 제작 업체인 (주)케이티하이텔 및 전화번호안내 사업 업체 (주)케이티아이에스 등 다수의 종속회사 보유.
- 2015년 9월 가스밸브와 도어락 및 열림감지센서 등 기가 loT홈매니저를 출시,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였음.
실적 및 분석
- 위성방송 부문의 성장 등에도 COVID-19 여파에 따른 카드 거래액 감소, 무선 및 인터넷 부문의 역성장 등으로 전년대비 매출 소폭 감소, 수익성은 소폭 상승.
- 순이익 내부유보를 통하여 자기자본을 확충한 가운데 기타채무 감소 등에 따른 부채규모 축소로 전년대비 제안정성 지표 개선, 무난한 재무구조 견지.
- 국내 경기회복에 따른 카드 거래액 증가, 5G 및 인터넷 가입자 증가, 케이블TV업체 인수 효과 및 광고 취급고 확대 등으로 매출 성장 전망.
SK텔레콤(01767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동사는 무선 통신사업과 유선 통신사업, 커머스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, 국내 무선 통신시장에서 점유율 1위로 확고한 시장지위 지속.
- 유선 통신 사업 관련 2006년 7월 TV-Portal 사업 상용 서비스 개시 및 2008년 9월 IPTV 사업 허가를 받아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음.
- 주요 종속기업으로 SK텔링크(주), SK브로드밴드(주), 피에스앤마케팅(주), SK플래닛(주), 십일번가(주), 에스케이인포섹(주) 등을 보유하고 있음.
실적 및 분석
- 5G 가입자 증가 및 종속기업 SK브로드밴드의 티브로드 합병, 보안 및 커머스 부문의 성장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대비 매출 규모 확대.
- 지급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확대에도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상승, 지분법이익 증가로 순이익률 상승.
- 5G 가입자 증가에 따른 ARPU 상승 및 IPTV, 초고속인터넷 중심의 유선 부문 가입자 증가, 커머스 부문의 양호한 성장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.
더존비즈온(012510) :: 클라우드 관련주
기업개요
- 국내 대표 IT기업으로 ERP와 그룹웨어 등 기업정보화 분야에서 시장 내 독보적인 지위 점유, 경영정보솔루션 등을 바탕으로 높은 인지도 보유.
- 과거 ERP부문에만 의존했던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ERP와 연계된 보안/그룹웨어/ 전자금융 등 다양한 기업용 솔루션 분야로 영역확대.
- 주요제품인 Lite ERP는 약 11만개 업체와 전국 1만 2천여 개 세무회계사무소에 공급, Standard/Extended ERP 제품은 약 2만여 개 업체에 공급 중임.
실적 및 분석
- COVID-19 이슈에 따른 클라우드 고객 확대와 WEHAGO 플랫폼을 통한 신규 고객 증가, 그룹웨어 사업 성장 등으로 외형은 전년대비 신장.
- 원가구조 저하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하락, 법인세비용 감소에도 이자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 하락하였으나 양호한 수익구조 견지.
- ERP사업의 ERP10 및 WEHAGO 고객 증가세와 빅데이터 기반의 AI기술을 적용한 매출채권유동화 사업 가시화 등으로 매출 성장 가능할 듯.
# 본 자료는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지만,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.
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.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구용 코로나치료제 관련주 8종목 (1) | 2021.09.01 |
---|---|
해저터널 관련주 대장주 총정리 TOP10 (0) | 2021.08.31 |
삼성반도체 부품주 필수 총정리 (0) | 2021.08.31 |
보톡스 관련주 대장주 총정리 TOP10 (1) | 2021.08.31 |
폐배터리 관련주 대장주 총정리 TOP10 (0) | 2021.08.31 |